“차세대 스텔스 무인기, 저피탐 기체·고내열 전파흡수재 적용”

대한항공, 2021년부터 국기연 등과 함께 관련 기술 개발 나서

김경남 대한항공 항공기술연구원 부원장은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신원식 국민의힘 의원 주최로 8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리는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구축 및 대응방향 세미나’에 앞서 배포한 발제문을 통해 이 같은 구상을 소개했다.

‘스텔스’란 레이더 반사면적(RCS)을 줄여 일반 레이더론 조기에 탐지·식별하기 어렵게 만드는 기술을 말한다.

윤석열 대통령은 작년 말 북한의 소형 무인기 도발 이후 군 당국에 ‘연내 스텔스 무인기 생산’을 지시했다.

김 부원장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국방과학연구소(ADD)와 함께 지난 2010~16년 스텔스 무인기 ‘가오리-X’를 개발했다. 전장 7m급의 가오리-X는 ‘무미익'(tailless·꼬리날개가 없음) 형태로 제작됐으며, 전파 흡수 구조가 적용됐다.

또 대한항공이 ADD와 함께 2016~21년 개발한 전장 15m급의 ‘가오리-X2’는 가오리-X보다 전파 흡수 구조 성능이 고도화됐다.

대한항공은 2021년부턴 국방기술진흥연구소(국기연)과 함께 광대역 저피탐 기체를 개발하고 있다. 대한항공 측은 이를 통해 전자기적 투명스킨, 저밀도 전파 흡수 소재 등 광대역 전파 흡수 구조를 비롯해 표면 전류 제어 등 전기체 스텔스 기술을 고도화한다는 계획이다.

대한항공은 특히 작년부턴 목표로 1000도의 고열도 견딜 수 있는 세라믹 기반 고내열 전파흡수 복합재 및 구조, 초고온 전자기·RCS 측정 시스템 개발에 나선 상태다. 이들 기술 개발은 오는 2027년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무인기가 고도의 스텔스 성능을 갖추기 위해선 엔진의 열을 견디면서 외부의 레이더 전파도 흡수할 수 있는 고내열 전파 흡수 복합소재를 필요로 한다.

대한항공이 개발 중인 이들 기술은 전장 6m급 차세대 스텔스 무인기(시제기)에 우선 적용돼 검증작업을 거칠 것으로 예상된다.

김 부원장은 “북한의 핵·미사일 등 비대칭전력 무력화를 위해 스텔스 성능을 활용한 드론의 적진 침투를 통해 유인 조종사의 생존성 및 임무효율, 달성률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bout the author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Would you like to receive notifications on latest updates? No Y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