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컷오프 여론조사 종료···증가한 ‘수도권·청년 당원’ 어떤 영향 미칠까

3·8 국민의힘 전당대회 본선 진출자를 정하기 위한 예비경선(컷오프) 책임당원 여론조사 결과가 10일 오전 발표된다. 당대표 예비경선 1위를 다투는 김기현·안철수 후보는 9일 여론조사 결과 사전 유출 의혹으로 날을 세웠다. 2년 전 전당대회 때보다 수도권·청년층 당원 비율이 증가한 가운데 이준석 전 대표 측에서 출마한 대표·최고위원·청년최고위원 후보 4명 가운데 몇 명이 예비경선을 통과하느냐에 따라 전당대회 구도가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9일 국민의힘에 따르면 전날부터 진행한 예비경선 여론조사는 이틀째인 이날 오후 일찍 목표인 6000명을 채우면서 종료됐다. 김기현·안철수·천하람·황교안·윤상현·조경태 등 후보 6명 가운데 4명이 본선에 진출한다. 김 후보와 안 후보의 진출이 사실상 확정된 가운데 최근 여론조사에서 선전한 원외 천 후보와 황 후보가 현역 의원인 윤 후보와 조 후보를 누르고 예비경선을 통과할지에 관심이 모인다.

국민의힘은 대의원·책임당원·일반당원으로 구성된 전당대회 선거인단 총 83만9569명의 명부를 이날 확정했다. 이 전 대표가 선출된 2021년 전당대회(32만8889명)의 2.5배 규모다. 영남권 39.67%, 수도권 37.79%로 2년 전 전당대회보다 영남권 비중은 11.6%포인트 줄고 수도권은 5.5%포인트 늘었다. 연령대별로는 20대 이하 7.78%, 30대 10.03%, 40대 14.59%, 50대 25.56%, 60대 29.24%, 70대 이상 12.80%다. 2년 전 책임당원은 20대 이하 3.9%, 30대 7.7%였다. 여전히 전체 인구에 비해 영남·50대 이상에 편중돼 있지만 그 정도가 완화됐다.

여당 일각에서는 당원 수가 크게 늘면서 조직표 영향력이 줄고 수도권·청년층 비중이 증가해 안 후보나 천 후보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내놓는다. 각 후보 측은 상반된 해석을 내놨다. 김 후보는 “수도권, 영남으로 당원을 분류해 접근하는 것 자체에 대해 반대한다”며 “수도권에서 이기는 게 중요한 과제인 만큼 당원들이 안심할 방안을 찾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안 후보 측은 “수도권·청년층 선거인단이 늘면 결국 당심도 민심을 따라가게 돼 있다”며 “현재 선거전략이 완벽하게 맞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천 후보는 BBS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당원들의 최소 60% 이상은 지금 이런 방향으로 가다가는 당이 후퇴해 국민들의 신뢰를 잃어버리는 것 아니냐 하는 위기의식이 있다”며 “60% 이상의 득표가 가능하리라 본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에서는 이 전 대표 측에서 출마한 후보들 가운데 몇 명이 예비경선을 통과할지도 관심사다. 이 전 대표 측에서는 당대표로 출마한 천 후보 외에 최고위원에 허은아·김용태 후보, 청년최고위원에 이기인 후보가 나섰다. 예비경선에서 최고위원 후보는 13명 중 8명(최종 4명 선출), 청년최고위원 후보는 11명 중 4명(최종 1명 선출)만 살아남는다. 지난해 이 전 대표가 당원권 정지 징계를 받았을 때 선출직 최고위원 5명 중 4명 이상이 사퇴하면 비상대책위원회를 설치할 수 있도록 당헌·당규를 개정하면서 계파마다 최고위원 자리를 몇이나 차지하느냐가 더 중요해졌다. 이 전 대표 측은 후보 넷이 공동선거운동을 펼치면서 동반 당선을 시도하고 있다.

김 후보는 이날 나경원 전 의원과 이틀 만에 다시 만나 나 전 의원 지지층 흡수를 노렸다. 둘은 서울 마포구에서 열린 사단법인 ‘새로운 민심’ 전국대회에서 악수한 뒤 나란히 자리에 앉았다. 김 후보는 “김기현 당선을 위해 길을 같이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나 전 의원은 “어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탄핵(소추) 사태를 보면서 지금 우리가 가야할 모습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했다”고 밝혔다. 안 후보는 충북을 돌며 당원들을 만났다. 안 후보는 “내년 총선 때 중원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중원의 사령탑이 필요하다”며 ‘수도권 대표론’의 중원 확산을 시도했다. 두 후보는 “당 지도부와 대통령 사이에 다시는 불협화음이 나와선 안 된다”(김 후보) “낙하산부대를 가진 사람은 당대표가 되면 안 된다”(안 후보)고 서로를 직격했다. 천 후보는 “(김 후보와 안 후보) 두 분 중에 누가 특별히 낫다는 생각은 별로 안 한다”며 3강 구도 만들기를 시도했다.

이날 오전 한 인터넷 보수매체가 ‘국민의힘 관계자’를 인용해 ‘첫날(8일) 여론조사에서 김 후보가 1위였으나 과반에는 미달했다’는 내용의 기사를 보도했다. 안 후보 측은 “여론조사에 영향을 미칠 의도를 가지고 선거 중립 의무를 저버린 채 익명의 당직자를 인용해 익명의 기자가 작성한 기사는 언론 보도를 가장한 중차대한 범죄 행위”라며 당 선거관리위원회에 관계자의 제명을 요구했다. 김 후보 측은 보도 출처라는 일각의 의혹을 부인하며 진상 규명을 촉구했다. 당 선관위는 안 후보 측에 공문을 보내 “당의 모든 관계자는 여론조사 진행 중 어떠한 방법으로도 결과를 알 수 없다”며 “해당 언론사에 기사 출처를 정확히 밝혀줄 것을 요청하면서, 출처를 밝히지 못할 경우 기사를 철회할 것을 요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대연 기자 [email protected], 문광호 기자 [email protected]

ⓒ경향신문(http://www.khan.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bout the author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Would you like to receive notifications on latest updates? No Y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