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 국민의힘 전당대회 본선 진출자를 정하기 위한 예비경선(컷오프) 책임당원 여론조사 결과가 10일 오전 발표된다. 당대표 예비경선 1위를 다투는 김기현·안철수 후보는 9일 여론조사 결과 사전 유출 의혹으로 날을 세웠다. 2년 전 전당대회 때보다 수도권·청년층 당원 비율이 증가한 가운데 이준석 전 대표 측에서 출마한 대표·최고위원·청년최고위원 후보 4명 가운데 몇 명이 예비경선을 통과하느냐에 따라 전당대회 구도가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9일 국민의힘에 따르면 전날부터 진행한 예비경선 여론조사는 이틀째인 이날 오후 일찍 목표인 6000명을 채우면서 종료됐다. 김기현·안철수·천하람·황교안·윤상현·조경태 등 후보 6명 가운데 4명이 본선에 진출한다. 김 후보와 안 후보의 진출이 사실상 확정된 가운데 최근 여론조사에서 선전한 원외 천 후보와 황 후보가 현역 의원인 윤 후보와 조 후보를 누르고 예비경선을 통과할지에 관심이 모인다.
국민의힘은 대의원·책임당원·일반당원으로 구성된 전당대회 선거인단 총 83만9569명의 명부를 이날 확정했다. 이 전 대표가 선출된 2021년 전당대회(32만8889명)의 2.5배 규모다. 영남권 39.67%, 수도권 37.79%로 2년 전 전당대회보다 영남권 비중은 11.6%포인트 줄고 수도권은 5.5%포인트 늘었다. 연령대별로는 20대 이하 7.78%, 30대 10.03%, 40대 14.59%, 50대 25.56%, 60대 29.24%, 70대 이상 12.80%다. 2년 전 책임당원은 20대 이하 3.9%, 30대 7.7%였다. 여전히 전체 인구에 비해 영남·50대 이상에 편중돼 있지만 그 정도가 완화됐다.
여당 일각에서는 당원 수가 크게 늘면서 조직표 영향력이 줄고 수도권·청년층 비중이 증가해 안 후보나 천 후보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내놓는다. 각 후보 측은 상반된 해석을 내놨다. 김 후보는 “수도권, 영남으로 당원을 분류해 접근하는 것 자체에 대해 반대한다”며 “수도권에서 이기는 게 중요한 과제인 만큼 당원들이 안심할 방안을 찾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안 후보 측은 “수도권·청년층 선거인단이 늘면 결국 당심도 민심을 따라가게 돼 있다”며 “현재 선거전략이 완벽하게 맞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천 후보는 BBS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당원들의 최소 60% 이상은 지금 이런 방향으로 가다가는 당이 후퇴해 국민들의 신뢰를 잃어버리는 것 아니냐 하는 위기의식이 있다”며 “60% 이상의 득표가 가능하리라 본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에서는 이 전 대표 측에서 출마한 후보들 가운데 몇 명이 예비경선을 통과할지도 관심사다. 이 전 대표 측에서는 당대표로 출마한 천 후보 외에 최고위원에 허은아·김용태 후보, 청년최고위원에 이기인 후보가 나섰다. 예비경선에서 최고위원 후보는 13명 중 8명(최종 4명 선출), 청년최고위원 후보는 11명 중 4명(최종 1명 선출)만 살아남는다. 지난해 이 전 대표가 당원권 정지 징계를 받았을 때 선출직 최고위원 5명 중 4명 이상이 사퇴하면 비상대책위원회를 설치할 수 있도록 당헌·당규를 개정하면서 계파마다 최고위원 자리를 몇이나 차지하느냐가 더 중요해졌다. 이 전 대표 측은 후보 넷이 공동선거운동을 펼치면서 동반 당선을 시도하고 있다.
김 후보는 이날 나경원 전 의원과 이틀 만에 다시 만나 나 전 의원 지지층 흡수를 노렸다. 둘은 서울 마포구에서 열린 사단법인 ‘새로운 민심’ 전국대회에서 악수한 뒤 나란히 자리에 앉았다. 김 후보는 “김기현 당선을 위해 길을 같이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나 전 의원은 “어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탄핵(소추) 사태를 보면서 지금 우리가 가야할 모습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했다”고 밝혔다. 안 후보는 충북을 돌며 당원들을 만났다. 안 후보는 “내년 총선 때 중원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중원의 사령탑이 필요하다”며 ‘수도권 대표론’의 중원 확산을 시도했다. 두 후보는 “당 지도부와 대통령 사이에 다시는 불협화음이 나와선 안 된다”(김 후보) “낙하산부대를 가진 사람은 당대표가 되면 안 된다”(안 후보)고 서로를 직격했다. 천 후보는 “(김 후보와 안 후보) 두 분 중에 누가 특별히 낫다는 생각은 별로 안 한다”며 3강 구도 만들기를 시도했다.
이날 오전 한 인터넷 보수매체가 ‘국민의힘 관계자’를 인용해 ‘첫날(8일) 여론조사에서 김 후보가 1위였으나 과반에는 미달했다’는 내용의 기사를 보도했다. 안 후보 측은 “여론조사에 영향을 미칠 의도를 가지고 선거 중립 의무를 저버린 채 익명의 당직자를 인용해 익명의 기자가 작성한 기사는 언론 보도를 가장한 중차대한 범죄 행위”라며 당 선거관리위원회에 관계자의 제명을 요구했다. 김 후보 측은 보도 출처라는 일각의 의혹을 부인하며 진상 규명을 촉구했다. 당 선관위는 안 후보 측에 공문을 보내 “당의 모든 관계자는 여론조사 진행 중 어떠한 방법으로도 결과를 알 수 없다”며 “해당 언론사에 기사 출처를 정확히 밝혀줄 것을 요청하면서, 출처를 밝히지 못할 경우 기사를 철회할 것을 요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대연 기자 [email protected], 문광호 기자 [email protected]
ⓒ경향신문(http://www.khan.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