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한국 겨냥해 전술핵부대 등장…김정은은 김일성 패션

북한이 인민군 창건일(건군절) 75주년을 맞아 8일 밤 개최한 열병식에서 선보인 신무기를 통해 장거리 핵타격 능력을 과시했다.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수준이 한층 더 높아졌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북한은 미국을 정조준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대거 등장시켰다.

특히 고체연료 추진 ICBM으로 추정되는 새로운 ICBM 4대가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 미국 본토를 사정권에 두는 최신 ICBM ‘화성-17형’도 최소 10대 이상 등장했다.

북한은 또 남한을 겨냥한 핵무기 운용부대인 전술핵운용부대도 열병식에 등장시켰다.

이에 따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이번 열병식을 통해 미국 본토 타격 능력과 대남 전술핵 공격 능력을 동시에 강조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장영근 항공대 교수는 “과거 열병식과 비교할 때, 북한은 이번에 특별한 목적을 갖고 무기체계를 공개한 것으로 분석된다”면서 “미국과 한국을 각각 겨냥해 ICBM과 핵운용 단거리전술미사일에 초점을 맞췄다”고 말했다.

올해 상반기 중에 고체연료 ICBM의 시험발사가 가능하다는 전망도 나온다.

김동엽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최근 북한의 신무기 공개방식을 보면 우선 열병식에 모형을 공개하고 이를 실제 개발 시험하는 경우가 많다”며 “이번에도 단순히 모형 장난감이 아니라 실제 개발되고 있는 무기체계라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이 검정색 중절모와 코트를 입고 열병식에 참석한 점도 눈길을 끈 대목이다.

검은 중절모와 코트는 할아버지인 김일성 전 주석을 상징하는 옷차림이기 때문에 김 위원장이 김 전 주석을 자신과 동일시하면서 군의 절대적인 충성을 요구하는 정치적 메시지를 발신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날 열병식에 동원된 병력 규모는 예년 수준인 2만2000여명보다 증가된 3만여명으로 추정됐다. 군 병력을 제외한 전체 군중 동원은 10만명이 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역대 열병식 중 최대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의 딸 김주애의 열병식 참석도 관심을 끌었다.

김 위원장과 마찬가지로 검은색 모자·코트 차림으로 등장한 김주애는 김 위원장의 손을 잡고 김일성광장에 깔린 레드카펫 위를 걸어 행사장에 입장한 뒤 귀빈석에 앉아 열병식 행사를 관람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김주애를 ‘사랑하는 자제분’, ‘존경하는 자제분’이라고 칭했다.

이날 열병식 행사에서는 북한 군인들이 ‘조선인민의 철천지 원수인 미제침략자들을 소멸하라! 붉은기중대 조선인민군’이라고 적힌 깃발을 들고 분열행진하는 모습도 보였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이번 열병식에 대해 “종합적으로 봤을 때 상당히 연출이 잘 된 열병식”이라고 평가했다.

임 교수는 “인민들에겐 핵 강국으로서의 국력 위상을 과시하고, 군인들에겐 핵 무력 강국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을 부여해 충성을 유도하려는 의도가 아주 명확했다”며 “김주애까지 등장시켜 극적인 효과를 높였다”고 말했다.

신용일 기자 [email protected]

About the author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Would you like to receive notifications on latest updates? No Y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