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나한테 사과해라”…장경태 “질문도 못 하나”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8일 청담동 술자리 의혹을 제기한 장경태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향해 “저한테 사과한다고 말씀하시라”고 날을 세웠다. 이에 장 의원은 역술인 천공과 윤석열 대통령의 관계를 물으며 반격에 나섰다. 이들은 서로의 질문엔 답하지 않은 채 각자의 질문만 이어가는 모습을 보였다.

 

한 장관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대정부질문에서 장 의원이 국회 본회의장 연단에 올라선 직후 사과를 요구했다.

 

한 장관은 장 의원이 “윤 대통령께서 정법 공부하시거나 정법 가족이라고 생각하시지는 않나”라고 질의를 시작하자마자 말을 가로막았다. 그러면서 “하나씩 정리하시죠. 전에 청담 (의혹 관련 동영상) 그거 트셨잖냐. 사과하실 생각 없나”라며 장 의원에게 물었다.

 

장 의원은 “항상 사람 말을 안 들으시나”라며 “천공 스승은 사기꾼 같은 사이비 교주이자 사회악 아니냐”고 재차 질문은 이어갔다. 한 장관의 사과 요구에는 응하지 않았다. 그는 유튜브에서 정법 강의를 하는 천공이 대통령 관저 선정에 개입했다는 등 의혹을 거듭 거론했다.

 

한 장관 역시 장 위원의 물음에는 답을 하지 않았다. 그는 “누구 한 명, 제보자 한 명 연락받으면 그냥 틀고 당론으로 밀어붙이고 TF(태스크포스) 하잖나”라며 “그러면서 (사실이 아닌 것으로) 다 드러나면 입 싹 씻고 아무 말도 못한다”고 지적했다.

 

장 의원은 “신뢰할 만한 증거가 있는데 왜 질문하지 못하나”라며 “그게 그렇게 모욕적이었냐”고 한 장관 말을 맞받았다.

 

한 장관이 “(장) 의원님이 예를 들어 어디 이상한 데 갔었다는 걸 제가 한마디 듣고 공개적으로 얘기하면 모욕적이지 않냐”고 묻자 장 의원은 “장관님의 사견은 궁금하지 않다”고 답했다.

 

두 사람이 서로에게 일방적으로 요구 및 질문을 하는 사이 대정부질문에 참석한 의원들 의석에서는 불만 섞인 외침이 나오기도 했다.

 

장 의원은 또 “한 장관은 김건희 여사와 매우 가깝다는 얘기도 있고 카카오톡을 330여회 이상 주고받았다는 얘기도 있다”며 “김 여사에 대한 호칭은 어떻게 하시냐”고 물었다.

 

한 장관은 “개인적으로 대화하는 사이가 아니다”라면서도 “과거에는 청장과 대화하기 위한 과정이었고 그때는 사모님이라고 부르지 않았겠냐”고 답했다.

 

이후 장 의원은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 관련 내용을 열거하며 김 여사가 주가조작 사건에 연루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한 장관은 “새로 나온 얘기가 아니라 지난 정부에서 수사할 때 이미 확보된 자료를 공판에서 증거 과정에서 설명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이날 민주당은 한 장관을 향해 집중 공세를 펼치는 모습을 보였다. 한 장관도 이에 맞서며 수차례 논쟁이 벌어졌다.

 

김민석 민주당 의원은 ‘채널A 사건’ 조사 과정 등을 지적하며 한 장관과 입씨름을 벌였다. 김 의원은 “채널A 사건을 수사 받을 때 한 장관이 ‘수사팀의 공정성이 의심받는다면 그 팀으로부터 수사를 받을 수 없다는 것은 상식적인 요구’라고 변호인을 통해 입장을 내고 조사를 거부했다”며 “불공정한 검찰 수사와 비밀번호 해제 요구를 한 장관이 거부하면 상식이고 상대가 하면 쇼핑이고 부당한 것이냐”고 지적했다. 한 장관이 “수사 받는 당사자가 쇼핑하듯 수사기관을 선택할 수 있는 나라는 민주법치국가에서는 없다”고 한 발언을 겨냥한 것이다.

 

한 장관은 이에 “잘못 보신 것 같고, 저는 출석해서 조사를 받았다”며 “이재명 대표도 그렇게 (수사 거부를) 했다”고 응수했다.

 

김 의원은 또 한 장관이 정치인 지지도 여론조사에 등장하는 것도 지적했다. 그는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나 윤석열 대통령은 현직일 때 여론조사에서 빼달라고 요청했는데, 한 장관은 ‘이름을 빼는 게 더 호들갑’이라고 했다”며 “판단이 다른 이유는 소신 때문인가, 아니면 결국 내가 정치를 하게 될 것 같다는 운명적 예감이냐”고 물었다.

 

그러자 한 장관은 “저에 대한 과한 관심을 가지시는 것 같다”고 맞받아쳤다.

 

김남국 민주당 의원도 한 장관이 ‘검사정보공개’ 법안을 비판한 데 대해 “해당 법안의 구체적 내용도 모르고 비판하는 것은 너무 성급하고 무책임하다”며 “나아가 이 법안을 야당 대표와 연관 지어 특정인의 수사를 막기 위한 법이라고 하는 것은 너무 과한 발언이었다고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한 장관은 “그 법안 추진이 이재명 대표를 수사로부터 막아주기 위한 취지가 정말 아니냐”고 반문하며 “부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사과할 수 없다”고 일축했다.

About the author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Would you like to receive notifications on latest updates? No Y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