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우선공급 대상인 북 군대도 식량부족 겪는 듯”

북한 당국이 최근 농민들에게 농업 생산목표 달성을 촉구하면서 군인이 먹을 식량을 헌납하라고 독려한 것은 우선공급 대상인 북한 군대도 식량 부족을 겪고 있다는 방증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0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에서 평양 특파원을 지낸 문성희 도쿄대 박사는 “최근에 애국미 헌납을 장려하는 움직임이 자주 포착이 되는데 이번에는 농민조직인 조선농업근로자동맹(농근맹) 중앙위원회 회의에서 결정됐다”며 “지금까지는 노동신문 등을 통해 독려를 해왔는데 (이제는) 농근맹을 통해서 조직적으로 헌납운동을 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북한은 아무리 어려울 때도 군인들에게만은 식량을 우선적으로 공급해왔다”며 “군인들에게도 식량이 제대로 배급되지 않고 있다면 북한의 심각한 상황을 보여주는 것이다”고 분석했다.

문 박사는 “예로부터 북한에서는 모든 주민들이 굶는다고 해도 군대만은 식량을 넉넉히 보장하고 있었다. 징병제여서 의무적으로 군대에 가야 하지만 부모들이 자기 아이를 군대에 보내고 싶은 이유 중의 하나가 그래도 자식들은 군대에 가면 굶지 않는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기 때문”이라며 “그런 군대에 애국미를 헌납하는 운동이 장려된다는 것은 군에서도 식량이 부족한 게 아닌가 생각된다. 그렇다면 다른 주민들은 더 어려운 생활을 하고 있을 것이다”고 우려했다.

극심한 식량난에 북한에서는 굶어 죽는 주민들도 속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생활 수준이 높은 개성시에서도 식량난에 혹한 피해까지 겹쳐 하루 수십 명씩 아사자가 발생한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실제 북한은 지난 5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회의를 열고 이달 하순 농사문제와 농업발전의 전망목표들을 토의하기 위해 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7차 전원회의를 소집하기로 했다.

지난해 말 이후 두 달 만에 농업 분야 단일의제로 전원회의를 또 소집한다는 것은 그만큼 식량난이 시급한 과제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통일부도 이에 대해 “북한이 2개월여 만에 다시 전원회의를 개최하는 것은 다소 이례적”이라고 평가한 뒤 “북한이 지난 1월 최고인민회의와 내각 전원회의를 통해 농업 문제를 중요한 안건으로 다룬 여러 정황들을 유의해 보고 있다”고 전했다.

선전매체 ‘조선의오늘’은 지난달 31일 중앙기관 간부들이 국가에 양곡을 헌납한 사례를 여럿 보도하기도 했다.

농촌진흥청은 지난해 북한에서 생산된 식량 작물은 451만t으로 1년 전 469만t보다 18만t(3.8%) 감소한 것으로 추정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지난해 7월 발표한 ‘작황 전망과 식량 상황 분기 보고서’를 통해 북한을 외부 식량 지원이 필요한 나라로 재지정하기도 했다.

About the author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Would you like to receive notifications on latest updates? No Yes